다운로드, 열람은 기관인증 후에 가능합니다.
(구독기관 내 IP 이용 /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통해 접속)
개인회원 서비스 이용(알림서비스, 보관함 등)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개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저자 : 정기대
발행기관 : 포스코경영연구원(구 포스코경영연구소) 간행물 : POSRI 이슈리포트 2020권 8호 발행 연도 : 2020 페이지 : pp. 1-13 (13 pages)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국내 조선산업 LNG운반선 수주 경쟁에서 압도적 우위 확보 - 올해 세계 최대규모 카타르 LNG운반선 프로젝트에 뛰어든 한중일은 한국 23.6조원 수주, 중국 3.5조원 수주, 일본 수주 실패로 귀결 - 한국 LNG운반선 분야 주도 중으로 '19년 세계 LNG운반선 발주 60척 중 48척 수주(80.0%), '18년 72척 중 66척(91.7%), '17년 18척 중 12척(66.7%) - LNG운반선 핵심기술이 MOSS에서 멤브레인(Membrane)으로 변화하면서, LNG운반선 리더십이 1970~1990년대 MOSS기술로 주도하던 일본에서 1990년대 후반부터 멤브레인 기술을 주도하는 한국으로 이동 ○ 다가오는 Gas시대, 新造 수요를 견인할 분야는 친환경 선박 - 국제에너지기구(IEA)선정 중요 에너지 트렌드인 'Golden Age of Gas' 도래 - 조선은 환경규제 대응과 효율성 중시 트렌드 하 친환경 스마트 선박 대두 - 국제해사기구 (IMO) 환경규제 대응으로 주목 받는 친환경 선박은 LNG 연료추진선으로 핵심경쟁력은 대형선박설계 및 건조능력과 기자재 역량(연료탱크, 엔진, 연료공급시스템 등) O LNG 연료추진선 한중일 경쟁, 한국 조선3사가 기술력 기반 초반 선두 - 한국 조선산업은 기술·가격·금융 중 기술 우위로 시장 선점 중 - 한국은 연료탱크(화물창)기술, 엔진, 연료공급시스템도 비교 우위 - 중국 조선산업, 가격·금융 우위와 Captive 수요 크지만 기술 부족으로 고전 중 - 일본 조선산업, MOSS 기술 리더십 이후 변화하는 고객 니즈 충족시키지 못함 O 국내 조선산업은 탄탄한 안전·성능·납기 기반 하에 지속적으로 신기술 리더십 확보 필요함 - 품질강화로 대형사고(침몰/고장) 방지, 고객만족 성능·납기 Track Record 유지 - LNG 화물창 국산화 기술 (KC-2 및 조선3사 기술) 연착륙 - 자율주행 및 연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스마트기술개발로 경쟁력 지속 강화 - 'Next LNG 연료추진선' 준비 필요: LNG 이후 친환경 Green Energy 선박 등
저자 : 서상현
발행기관 : 포스코경영연구원(구 포스코경영연구소) 간행물 : POSRI 이슈리포트 2020권 8호 발행 연도 : 2020 페이지 : pp. 1-11 (11 pages)
O 올 2월부터 본격화된 코로나19 확산은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의 경제 및 산업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코로나19 팬데믹에 의한 원유수요 급감과 국제유가 급락으로 IVENA 경제가 큰 타격을 받고 있음 - 특히 IVENA에서 경제규모가 큰 사우디, 이란, UAE, 이라크 등 원유 수출국가의 피해가 큰 가운데 세계은행 (WB) 은 '20년 VENA 경제성장률을 A4.2% 로 전망 O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건설, 자동차, 관광산업 등이 큰 타격을 받고 있음 - 사우디, UAE, 카타르 등에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입찰이 연기되거나 중단되고 있으며, '20년 VENA 건설시장 성장률은 A2.8% 로 전망됨 (GlobalData) - 자동차는 주요 생산국인 이란과 모로코의 봉쇄정책과 주요 수출지역인 EU의 수요 감소로 생산차질을 빚고 있으며, 관광산업 역시 국경봉쇄 및 항공기 운항 중단으로 큰 타격을 받음 O 최근 MENA 지역 주요 국가들은 봉쇄정책을 완화하는 동시에 다양한 경기부양책을 시행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고 있음 - 사우디와 UAE 등은 6월 14일부터 모든 직장인의 출근을 허용하고 대부분의 상업시설 활동도 재개함 - 또한 경기부양을 위해 사우디 U$420억, UAE U$340억, 카타르 U$230억, 오만 U$200억 등을 투입하여 민생을 안정시키고 소비 진작을 유도할 예정 O 특히 탈석유화와 산업다변화로 건설, 신재생에너지, 자동차부품, 의료기기 등이 유망 산업으로 부상할 전망 - 건설부문에서는 유가 영향이 적은 주택 등 건축 사업이 유망하며, 신재생에너지는 탈석유화와 맞물려 태양광 및 풍력발전이 지속 성장할 전망 - 유럽사의 부품 체인망(GVC) 강화로 모로코의 자동차부품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코로나19 이후 보건의료 정책 강화로 의료기기 등도 각광받을 전망 O 국내기업도 환경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야 함 - 건설사는 사우디 및 UAE, 카타르 등 주요 건설시장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탈석유화 산업의 수혜인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IPP사업에 적극 진출할 필요 - 이 밖에 자동차부품 산업 진출과 K-방역으로 국산품 선호도가 높은 의료기기 등의 수출 등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음
공지사항⋅ 학회소식⋅ FAQ⋅ 1:1문의⋅ 뷰어 다운로드⋅ 이용안내⋅ 구독문의⋅ 제휴문의⋅ 기관 무료이용(트라이얼) 신청
OPEN API⋅ 간편 외부접속
마이페이지 > 나의 검색 히스토리에 저장되었습니다.
열람자료목록을 저장합니다.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KISS에서 서비스 중인 학술자료는 ㈜한국학술정보와 구독계약을 맺은 기관에 소속이신 분들만 이용이 가능하십니다.
구독기관 확인 및 문의 - 소속된 대학도서관에 확인 / 소속된 기관의 자료담당부서 - KISS 고객센터: kiss@kstudy.com
구독기관의 교외접속방법 - 대학도서관홈페이지 로그인 후에 도서관 내 메뉴를 통해 접속 - 안내: KISS 고객센터 FAQ
구독기관에 속해 있지 않은 경우, 아래사이트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해당 자료는 발행기관과의 계약 만료, 혹은 저자 요청 등의 이유로 원문이 제공되지 않고 서지정보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관련 상세문의는 고객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KISS 고객센터: kiss@kstudy.com
해당 간행물이 관심간행물로 등록되었습니다.
선택한 개의 자료를 보관함
보관함 선택 기본보관함 에 담기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