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ison Analysis of Trade Product between Korea and Japan for Solving Korea`s Trade Deficit with Japan
한국과 일본은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다양한 경쟁협력을 해오고 있다. 수출중심의 경제성장을 이룩한 한국은 대외수출이 증가할수록 대일본 수입이 증가하는 구조다. 이 결과 1965년 이후 한국은 매년 대일본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2010년 대일본 무역수지 적자규모는 역대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HS코드 6단위 전체 5052개 품목을 대상으로 양국간 품목별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일본 무역수지 적자 고착품목은 575개 품목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무역수지 적자를 개선할 수 있는 품목으로 대일본 수출확대가 가능한 145개 품목, 국산품 대체가 가능한 51개 품목을 발굴하였다. 한국의 대일본 무역수지 적자개선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의 수출구조, 엔/원화 환율, 일본제품에 대한 선호를 감안할 때 단기적으로 이를 개선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무역수지 적자 고착품목의 경우 제3국 제품으로 대체가 가능하나, 이럴 경우 한국의 대세계 무역수지가 악화됨에 유의해야 한다.
Korea`s trade balance with Japan has been in deficit since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65. Korea`s export-led growth has leaded to an increase in import from Japan. Korea`s trade deficit with Japan will mushroomed into an all-time of $36 billion in 2010. It will be the biggest trade deficit with Japan in history. This article analyzes the competitiveness of 5052 trade products based on Harmonized System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a result, we determine 575 products which induce trade deficit with Japan, permanently. On the other hand, 145 products have a potentiality of improving the trade imbalance by increasing export to Japan. Also, 51 products can be replaced by domestic products. We should approach the issue of Korea`s trade deficit with Japan from a long-term prospective. Due to Korea`s export-led growth, the won-yen exchange rate and preference for Japanese goods, this problem cannot be solved for short-term. In case of import substitution of domestic products, we have to care deeply about a decrease in Korea`s trade surpluses with the world.
I410-ECN-0102-2012-830-002401613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KIF working paper |
2020권 3호 ~ 2020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열린충남 |
91권 0호 ~ 91권 0호 |
|
37권 1호 ~ 37권 1호 |
|
12권 2호 ~ 12권 2호 |
|
34권 4호 ~ 34권 4호 |
|
38권 4호 ~ 38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한국경제주평 |
895권 0호 ~ 897권 0호 |
TIP(TAX ISSUE PAPER) |
27권 0호 ~ 28권 0호 |
KIF VIP리포트 |
2020권 16호 ~ 2020권 18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509권 0호 ~ 511권 0호 |
공공기관과 국가정책 |
2019권 1호 ~ 2019권 2호 |
재정포럼 |
294권 0호 ~ 294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8권 3호 ~ 18권 3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한국경제의 분석 |
26권 3호 ~ 26권 3호 |
|
68권 4호 ~ 68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