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 of prescription of a public prosecution in French criminal procedure
프랑스 형사소송법학은 공소시효의 본질에 관한 실체법설 또는 소송법설과 같은 개념적 논의보다는 공소시효제도의 존재론적 특성자체에 주목한다. 프랑스 형사소송법 제6조 제1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공소시효의 완성은 피고인의 사망, 사면, 형의 폐지, 확정판결이 있는 경우와 같이 일반적 공소권소멸사유에 해당한다. 프랑스 형법 제213-5조에 규정된 ``집단살해``와 같은 반인륜범죄와 프랑스 군형법 제L. 211-13조, 제L. 212-40조에 규정된 ``적군으로의 투항, 외국에서 군작전시 전시군대의무위반항명``과 같은 중범죄를 제외한 모든 범죄는 공소시효의 적용대상이다. 공소시효는 범죄인이 법망을 피해 도망 다니는 기간으로만 인식될 것이 아니라 엄연히 사회공공질서의 유지에서 유래된 제도이다. 우리나라의 대법원에 해당하는 프랑스 파기원에서 판시한 바와 같이 범인 스스로 공소시효의 적용을 포기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범인이 언급을 않더라도 판사는 직권으로 판단하여야 하며 공소권이 공소시효에 의해 소멸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는 것은 검사의 의무이다. 결국 공소시효의 완성은 공소제기의 유효조건인 동시에 실체심판의 전제조건인 소송조건의 결여에 해당하게 되므로 형사절차상 어느 단계 어떠한 원인에 대해서든 대항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공소시효제도와 가장 다른 특색으로는 기소 또는 수사절차에 해당하는 행위가 있으면 공소시효의 중단을 인정한다는 점으로 즉 형사사건해결을 위한 수사당국의 법적행위가 있게 되면 해당사건의 공소시효는 여러 차례 중단될 수 있다. 공소시효가 중단되면 그간 진행되던 공소시효기간은 무효화되고 새로이 해당범죄의 공소시효가 진행되어 사건해결에 충분한 시간을 갖고 수사당국은 ``범죄자필벌``을 위한 적극적 실체진실발견주의를 실현할 수 있다.
La prescription publique est le delai au terme duquel un acte ne peut plus faire l`objet d`investigations par enclenchement de l`action publique. Les delais de prescription de l`action publique sont definis par les articles 7, 8et 9 du Code de procedure penale. Les delais de prescription de l`action publique des contraventions sont 1 an. Ces delais sont 3 ans, 10 ans lorsque le delit auquel se refere l`article 706-47 du Code de procedure penale a ete commis contre un mineur, et 20 ans pour les delits des articles 222-125, 222-306 et 227-267 du Code penal. Ces delais sont 10 ans en terme general et 20 pour certains crimes commis sur des mineurs(art. 706-47 du Code de procedure penale). Il existe egalement des delais speciaux reduits, en matiere de presse(art. 434-25 du Code penal). A l`inverse, certains delais sont prolonges de maniere indirecte, en droit penal des affaires ou la prescription de l`action publique ne commence a courir qu`a la decouverte de l`acte delictueux. Ces delais commencent a courir a partir du lendemain de l`infraction, de sa cessation ou de sa decouverte ; de la majorite de la victime pour certaines infraction (art. 706-47 du Code de procedure penale, art. 222-12, 222-30 et 227-26 du Code penal) ; du lendemain du dernier acte de procedure. Ces delais ne doivent pas non plus etre confondus avec les delais de prescription de la peine, qui sont les delais a l`issue desquels le jugement ne peut plus etre mis a execution, Les difficultes de mise en oeuvre de la prescription de l`action publique sont indiscutables. Il parait souhaitable de revenir aux delais classiques de prescription de l`action publique pour toutes les infractions, a deux derogations pres : imprescriptibilite des crimes contre l`humanite ; report du point de depart de la prescription a la majorite, pour des delais de meme longueur, des victimes mineures au moment des faits. Dans ce meme esprit, afin de ne pas en denaturer le sens, il conviendrait d`inviter la jurisprudence a plus de coherence et d`uniformite dans la fixation du point de depart du delai de prescription "au jour ou l`infraction est apparue et a pu etre constatee", en limitant de surcroit la duree totale du delai durant lequel les suspensions et interruptions pourront etre legitimement accueillies au double des delais initiaux. Parallelement, un amenagement procedural devrait conduire a mettre en place, au sein du systeme francais de justice penale, par necessite ou par anticipation de problemes lies notamment a la prescription de l`action publique, des rencontres restauratives entre les parties concernees. Ces parties envisagent les consequences de l`infraction et les moyens de favoriser leur reparation en commun. Il s`agit donc moins de creer de nouvelles modalites de prescription de l`action publique que de redonner coherence et effectivite aux dispositifs actuels, recentres sur la reconnaissance de l`humanite des personnes concernees par le crime.
I410-ECN-0102-2013-360-002137646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37권 4호 ~ 37권 4호 |
|
20권 4호 ~ 20권 4호 |
|
99권 0호 ~ 99권 0호 |
|
30권 4호 ~ 30권 4호 |
|
69권 6호 ~ 69권 6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
26권 3호 ~ 26권 3호 |
|
14권 2호 ~ 14권 2호 |
|
28권 3호 ~ 28권 3호 |
|
25권 2호 ~ 25권 2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28권 2호 ~ 28권 2호 |
|
15권 4호 ~ 15권 4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44권 4호 ~ 44권 4호 |
아세아여성법학 |
23권 0호 ~ 23권 0호 |
|
18권 3호 ~ 18권 3호 |
|
42권 0호 ~ 42권 0호 |
|
39권 3호 ~ 39권 3호 |
|
2권 1호 ~ 4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