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the Spatial Patterns of Organic Farming and the Women`s Roles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in Korea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업공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성노동력의 역할에 주목하고 2000년 이후 2010년까지 지난 10년 동안의 전국 친환경농업 생산공간의 분포 양상을 분석하였다. 입지계수와 LISA 분석을 적용하여 친환경농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였는데, 먼저 입지계수를 통해 친환경농업 특화지역의 분포를 보면 지난 10년 동안 수도권지역은 크게 감소한 반면 전남과 경북지역에서는 친환경농업 특화지역이 크게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LISA 지표를 이용하여 친환경농업의 공간적 클러스터 패턴을 파악한 결과 2000년 서울 남쪽의 수도권 지역에만 형성되었던 친환경농업의 집적지가 2010년에는 전통적인 농업지역인 전남지역의 전역으로 크게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친환경농업에 작용하는 지리적 변수와의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농가 경영주 성별이 여성인 농가수가 친환경 실천농가수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본 연구의 이러한 분석결과는 여성 경영주 농가와 친환경농업 공간의 연관성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농업공간으로의 농업공간 재구조화에 여성인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agriculture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2000~2010, focusing on women`s labor contribution to agricultural operations. Spati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of organic farming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Location Quotient(LQ) and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LISA), it was found that the specialized organic farmlan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decade, while in Chungnam and Kyungpook province it has been rapid growth in the same period.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o find out whether the spatial clusters in organic farming depends on women farmers. Results describing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c farming and women farmers within identified clusters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of the transition towards sustainable agriculture and farmland restructuring in Korea, by women.
I410-ECN-0102-2014-300-001630324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37권 4호 ~ 37권 4호 |
저널 물 정책·경제 |
32권 0호 ~ 32권 0호 |
|
29권 5호 ~ 29권 5호 |
공공기관 현황편람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
31권 2호 ~ 31권 2호 |
|
21권 3호 ~ 21권 3호 |
|
24권 3호 ~ 24권 3호 |
|
16권 3호 ~ 16권 3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478권 0호 ~ 480권 0호 |
손해사정연구 |
20권 0호 ~ 20권 0호 |
|
48권 3호 ~ 48권 3호 |
재정포럼 |
280권 0호 ~ 280권 0호 |
|
12권 3호 ~ 12권 3호 |
주간금융브리프 |
28권 19호 ~ 28권 20호 |
해양한국 |
2019권 11호 ~ 2019권 11호 |
|
33권 3호 ~ 33권 3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7권 1호 ~ 17권 1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7권 2호 ~ 17권 2호 |
이슈리포트 |
2019권 3호 ~ 2019권 4호 |
|
22권 3호 ~ 22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