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ce Recognition of Traditional Market Customers and Policy Directions for Revitalizing Communities
1.서 론 2.지역활성화와 전통시장 3.전용시장 이용객 설문 분석 4 지역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주 참고문헌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을 소재지 입지에 따라 도시형과 농어촌형으로 구분하고, 이들 유형에 대해 각각 서울종로구의 통인시장과 경북 봉화군의 봉화상설시장을 사례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이들 시장을 방문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지역주민의식에 대해 설문한 결과, 지역의 전통시장을 소개할 의향이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지역주민으로서의 자부심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당 지역의 전통시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지역공동체·지역문화·지역경제 부문 등 모두 24개의 항목을 설정하여 설문하였다. 그 결과 통인시장과 봉화상설시장의 이용객들은 자기 지역의 전통시장이 다른 지역주민에게 인정받는 시장이길 기대하는 정도가 강하고, 자기 지역의 전통시장이 언론에 소개되면 기분이 좋은 정도 역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지역의 전통시장이 발전하면 지역이발전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정도도 높게 나타났으며, 전통시장의 발전을 위해 지역주민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는 의지도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전통시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시장의 공간을 인간의 삶을 담고 있는 장소로 바라보아야 한다. 또한 전통시장 문제를 인간적·문화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시장의 활성화는 ‘더욱 전통시장다움’에서 해법을 찾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raditional market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urban or rural. This paperpresents a case study of the Tongin market in Seoul and the Bongwha market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Based on a survey of the customers and local residents in these markets, the peoples who have intention to show visitors around their traditional markets take more pride as local residents than peoples who do not have intention to show visitors around their traditional markets. This study includes surveys in 24 categories dealing with how local residents recognize the traditional market as regards local community, local culture and local economy. Consequently, the customers of the Tongin market and the Bongwha market had very strong expectations that their traditional markets would be popular with visitors. These surveys show that when these traditional markets were reported in the press and media, the satisfaction level of local residents was very high.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more the local traditional market develops, the more the region develops. And,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all local residents have to cooperate to develop a traditional market. To promote traditional markets that can revitalize communities, marketplaces need to be regarded as places that contain human life. In addition, there needs to a cultural and humane perspective brought to the fore. To conclude, the most effective way to solve the problem of traditional markets is to make them even more traditional.
I410-ECN-0102-2015-300-000181406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43권 4호 ~ 43권 4호 |
|
18권 3호 ~ 18권 3호 |
KIF working paper |
2020권 3호 ~ 2020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열린충남 |
91권 0호 ~ 91권 0호 |
|
37권 1호 ~ 37권 1호 |
|
12권 2호 ~ 12권 2호 |
|
34권 4호 ~ 34권 4호 |
|
38권 4호 ~ 38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한국경제주평 |
895권 0호 ~ 897권 0호 |
TIP(TAX ISSUE PAPER) |
27권 0호 ~ 28권 0호 |
KIF VIP리포트 |
2020권 16호 ~ 2020권 18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509권 0호 ~ 511권 0호 |
공공기관과 국가정책 |
2019권 1호 ~ 2019권 2호 |
재정포럼 |
294권 0호 ~ 294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8권 3호 ~ 18권 3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