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s among Learner Characteristics, Peer Interactions, and Learning Outcome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10.17232/KSET.21.2.1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에 상호 관련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온라인 학습공동체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중학교 1∼2학년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사회과 통합학습과제를 가지고 4주 동안 수행하도록 하였다. 사전지식 검사지, 언어·대인·자성지능 검사지를 활용하여 네 가지 학습자 특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연결망 분석도구로 학습자간 상호작용 지수를 측정하였으며, 산출물 평가도구로 학업성취도를 평가하였다. 변인간의 상관분석결과, 학습자 특성에서 사전지식이 수신·발신 상호작용 활동과 학습결과와 각각 상관이 나타났으며, 수신·발신 상호작용은 학습결과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는 사전지식이 수신·발신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 특성 중 사전지식과 자성지능이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수신·발신 상호작용 모두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er characteristics, interactions, and learning outcome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OLC).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first- and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of both sexes in OLC. Data were gathered for four weeks and analyzed by multipl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mong seven variable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f learning processes in OLC and previous studies on group interactions variables, a research model consisted of the input, process, and output variables: the input variables were four learner characteristics such as prior knowledge and three intelligences (verbal-linguistics,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the process variables involved two interactions such as in-degree centrality and out-degree centrality, and the output variable was learning outcome.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conducting the experiment were OLC environments, learning tasks, prior knowledge test, multiple intelligence test (verbal-linguistic/ interpersonal/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teraction analysis tools (social network analysis), and achievement evaluation tools. The results of multiple correlation indicate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ior knowledge and in-degree centrality, proir knowledge and out-degree centrality, and proir knowledge and learning outcome. Moreover, each in-degree centrality and out-degree centrality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earning outcom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rior knowledg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ve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outcome. Prior knowledge affects on both in-degree centrality and out-degree centrality but verbal-linguistics,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do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degree centrality. And in-degree and out-degree centrality have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outcome.
I410-ECN-0102-2016-370-000478464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64권 1호 ~ 64권 1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소식 |
75권 0호 ~ 75권 0호 |
|
26권 6호 ~ 26권 6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5권 2호 ~ 5권 2호 |
|
21권 6호 ~ 21권 6호 |
|
26권 2호 ~ 26권 2호 |
영유아교육.보육연구 |
13권 2호 ~ 13권 2호 |
|
70권 0호 ~ 70권 0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D-수학교육연구 |
23권 4호 ~ 23권 4호 |
|
41권 2호 ~ 41권 2호 |
|
5권 2호 ~ 5권 2호 |
|
59권 4호 ~ 59권 4호 |
|
32권 3호 ~ 32권 3호 |
|
68권 4호 ~ 68권 4호 |
|
34권 4호 ~ 34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