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gle Mothers’ Lived Experience As Former Residents of Welfare Facility
Ⅰ. 서론 II.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들이 복지시설 퇴소 후 인식한 시설생활의 의미를 밝히고자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로 접근했다. 체험된 공간성으로는 ‘낙인의 집으로떠밀려 들어옴’, ‘공동생활의 규제로 불편한 곳’, ‘생존전략을 구사하여 자기 위치를 공고히함’, ‘마음의 뿌리를 내린 곳’의 주제들이 드러났다. 본질적 주제는 ‘떠밀려 들어온 곳에서 자기 위치를 공고히 하여 마음의 뿌리를 내림’이 도출되었다. 체험된 신체성으로는 ‘시설의 품에서 보살핌을 받음’, ‘마음에 묻어두었던 모성의 발현’, ‘자녀의 버팀목이 되고자 다시 일어섬’의 주제들이 드러났다. 본질적 주제는 ‘시설의 보살핌을 받고 모성역량이 강화되어 가장으로 다시 일어섬’이 도출되었다. 체험된 관계성으로는 ‘스쳐 지나가는 이웃 속에 따로 놀기’, ‘이웃 간에 구별짓기로 위안을 삼음’, ‘이웃과의 소통에서 자기발견’, ‘더불어 살아가는존재’의 주제들이 드러났다. 본질적 주제는 ‘이웃과의 소통에서 자기를 발견하고 더불어 살아감’이 도출되었다. 체험된 시간성으로는 ‘세상에서 철회하여 도움에 안주함’, ‘기회를 잡고변화를 모색함’, ‘안정적인 일상으로 회복함’의 주제들이 드러났다. 본질적 주제는 ‘도움에 안주하는 연약한 존재에서 안정적인 일상으로 회복함’이 도출되었다.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의시설체험의 본질은 ‘시설에 떠밀려 들어와 도움에 의지하는 연약한 존재에서 모성역량이 강화되어 안정적인 일상을 회복하고 가족과 이웃이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 변화’하는 질적전이의 과정으로 해석되었다.
This study, using a hermeneutic phenomenology by van Manen, explored the meaningof what it is like to live in a welfare facility perceived by former single motherresident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Spatiality has themes like ‘being pushedinto a house of stigma’, ‘a place with regulations for communal life’,‘consolidating one’s position by devising survival strategy’, and ‘coming to anchorin mind.’ The essential theme for spatiality was ‘coming to anchor in mind byconsolidating one’s position after being pushed into a unwanted place.’ Corporealityhas themes like ‘taken into the arms of institutional care’, ‘manifestation ofhidden motherhood’, and ‘standing up again as a mainstay of children.’ Theessential theme for corporeality was ‘standing up again as a head of the family byempowering motherhood after receiving an institutional care.’ Relationality hasthemes like ‘avoiding neighborhood’, ‘finding consolation in distinction fromneighbors’, ‘discovering the self through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and‘living together with family and neighborhood.’ The essential theme for relationalitywas ‘discovering the self through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and livingtogether.’ Temporality has themes like ‘retracting from the world and remainingcomplacent with the help’, ‘seeking for a change and taking the opportunity’, and‘recovering a stable daily life.’ The essential theme for temporality was‘recovering a stable daily life from a vulnerable figure who remained complacentwith the help.’ Finally, the essence of lived experience of single mothers as formerresidents of welfare facility was a process of bringing qualitative ‘change from avulnerable figure depending on institutional help into the new self living together withfamily and neighborhood after recovering a stable daily life through empowerment ofmotherhood.``
I410-ECN-0102-2017-330-000298100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1권 4호 ~ 51권 4호 |
|
47권 4호 ~ 47권 4호 |
|
18권 2호 ~ 18권 2호 |
Research in Brief |
2021권 1호 ~ 2021권 1호 |
|
52권 0호 ~ 52권 0호 |
|
40권 4호 ~ 40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국제사회보장리뷰 |
15권 0호 ~ 15권 0호 |
보건·복지 Issue&Focus |
395권 0호 ~ 395권 0호 |
보건복지포럼 |
290권 0호 ~ 290권 0호 |
|
25권 4호 ~ 25권 4호 |
슈퍼비전과 실천연구 |
5권 0호 ~ 5권 0호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20권 2호 ~ 2020권 2호 |
이주와 통합 |
12권 0호 ~ 12권 0호 |
보건복지포럼 |
289권 0호 ~ 289권 0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Research in Brief |
2020권 10호 ~ 2020권 10호 |
|
17권 3호 ~ 17권 3호 |
|
51권 0호 ~ 51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