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rience of the Clinical Nurse ‘Taeoom’ Recognition of Nurses and Fellow Physicians
10.22143/HSS21.9.4.42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간호사 및 동료 의료인의 임상간호사 ‘태움’ 인식 경험을 이해하고 기술하며 설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참여자는 서울, 대구, 포항 소재 종합병원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 18명과 동료 의료인 5명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7년 11월 13일부터 2018년 2월 12일까지이며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raneheim & Lundman(2004)의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간호사 ‘태움’ 현상은 교육이라는 명분하에 용인되어 온 폭력이며 이유는 감당하기 힘든 업무와 문제해결 능력 부족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가해자, 피해자, 조직 모두의 상처이며 예방 및 해결책은 개인과 조직의 동반적 변화로 나타났다. 하지만 간호사들이 인식하는 ‘태움’의 억압적, 폭력적, 강요적인 훈련 방식에 대해 동료 의료인들은 잘 모르고 있고 문제로 인식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임상간호사 ‘태움’은 간호사 스스로 해결해야 하며 원인을 스스로 찾고 해결해 나가는 ‘태움’ 극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is qualitative study for understanding, describing and explaining the experience of the clinical nurse ‘Taeoom’ recognition of nurses and fellow physicians. Participants are 18 nurses and 5 fellow physician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in Seoul, Daegu and Poha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November 13, 2017 to February 12, 2018,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by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of Graneheim & Lundman(2004).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linical nurse ‘Taeoom’ phenomenon was tolerated under the name of education, and the reason was that it was difficult to cope with work and lack of problem solving ability. The results are wounds to both perpetrators, victims, and organizations, and prevention and solutions are accompanied by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nges. But fellow physicians were unaware of the oppressive, violent, and compulsive training methods of the ‘Taeoom’ that nurses perceived, and did not recognize them as problems. Therefore, the clinical nurse ‘Taeoom’ should solve the problem by the nurse himself, and suggests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Taeoom’ overcoming program to find and solve the cause later.
I410-ECN-0102-2018-300-003912878
I410-ECN-0102-2018-300-003912878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수시연구보고서 |
2018권 10호 ~ 2018권 8호 |
|
8권 1호 ~ 8권 1호 |
|
15권 4호 ~ 15권 4호 |
경상논집 |
38권 1호 ~ 38권 1호 |
|
49권 4호 ~ 49권 4호 |
|
22권 0호 ~ 22권 0호 |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
1권 2호 ~ 1권 2호 |
|
26권 0호 ~ 26권 4호 |
환경포럼 |
228권 0호 ~ 228권 0호 |
|
9권 6호 ~ 9권 6호 |
공사논문집 |
69권 2호 ~ 69권 2호 |
|
9권 6호 ~ 9권 6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
25권 4호 ~ 25권 4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16권 3호 ~ 16권 3호 |
수시연구보고서 |
2018권 5호 ~ 2018권 6호 |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
1권 1호 ~ 1권 1호 |
환경포럼 |
220권 0호 ~ 222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 간행물: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구 문화산업과 법) 11권1호
권호 다운로드시 해당 논문을 포함한 권호 전체 논문이 다운로드됩니다.
(40개 이상일 경우 1~40개까지)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