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sons and Types of Song Dynasty’s People naturalized as the Korea Dynasty
10.33638/JHS.49.3
Ⅰ. 들어가는 글 Ⅱ. 宋人의 高麗 歸化 원인 Ⅲ. 宋人의 高麗 歸化 유형과 특징 Ⅳ. 나오는 글
송인의 고려 귀화는 다른 민족의 고려귀화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요과 금의 고려 귀화자들은 다수의 인원이 수차례 육로를 통해 귀화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렇지만 송인의 경우는 소수의 인원 혹인 단독으로 귀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고려 조정도 송인과 요인 금인의 귀화에 대하여 다른 태도를 취하였다. 송인의 귀화에 대해서는 조정 심지어 왕이 적극적으로 귀화를 추진하였다. 송인의 고려 귀화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첫째, 정치혼란을 피해 고려에 귀화한 경우. 둘째, 상선을 타고 자발적으로 고려로 귀화한 경우. 셋째, 고려 조정의 권유로 귀화를 한 경우이다. 송인의 고려 귀화는 대부분이 자발적인 귀화였다. 또한 송의 내·외부적으로 혼란한 시기에 고려로 귀화하는 경우가 많았다. 고려에 귀화한 송인들은 주변국가의 귀화자들과 비교하여 몇 가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우선, 고려 歸化 宋人 중 일부분은 관료 혹은 귀족 출신들이다. 송인의 고려 귀화시기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北宋末과 南宋末 즉, 송이 내부적으로 혼란하였던 시기이다. 외부 민족의 침입이 있는 상황에서 전통적인 華夷觀을 갖고 있던 송인들은 다른 蠻夷 보다 완정된 국가체제와 중국의 문화를 수용 발전시켜왔던 고려로의 귀화를 자발적으로 선택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려 조정은 송인의 고려 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고려 조정은 요인과 금인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귀화를 추진한 적이 거의 없지만, 송인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고려 귀화 혹은 고려에서의 장기체류를 추진하였다. 이는 송인 중에서 학식과 재능이 있는 경우 고려 조정에서 적극적인 귀화를 추진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송인에 대한 우대 정책이 결국 송의 상류층과 지식인층이 고려로 귀화 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해 주었던 것이다.
As activating the trade between the Song[宋] Dynasty and the Korea[高麗] Dynasty, some of the people who visited other country to trade stayed abroad for a long time without returning to their hometown. The two countries respectively made the policies and the laws for managing people who naturalized. Especially the government of Korea prescribed details on appointment, marriage, relief work and return and enforced the system. And the government of Song drafted the legislation on the naturalized people of Korean birth on the basis of the law against people from abroad[蠻夷法]. The appointment of the Song’s people were two ways. The most basic method was to pass the examinations for naturalization. And another method was to receive somebody’s recommendation. Under any circumstance, they had to have their own erudition and ability and be helpful to the Korean government for allowing the naturalization and the appointment. The competent people who have erudition and ability entered the Korean government and had the various government post. They might have played some important roles by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Song dynasty. And they might have been available to speak both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Based on this, they might have been a valuable part of the various areas such as political, economy, culture and so on.
I410-ECN-0101-2019-000-001002845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68권 0호 ~ 68권 0호 |
|
33권 0호 ~ 33권 0호 |
|
9권 2호 ~ 9권 2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
30권 0호 ~ 30권 0호 |
|
86권 4호 ~ 86권 4호 |
|
93권 0호 ~ 93권 0호 |
|
40권 0호 ~ 40권 0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
11권 0호 ~ 11권 0호 |
|
121권 0호 ~ 121권 0호 |
|
120권 0호 ~ 120권 0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131권 0호 ~ 131권 0호 |
문학/사학/철학 |
63권 0호 ~ 63권 0호 |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
1권 0호 ~ 6권 0호 |
|
6권 0호 ~ 6권 0호 |
|
79권 0호 ~ 79권 0호 |
|
63권 0호 ~ 63권 0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