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iscourse on Korean Speaking Assessment based on Plurilingualism
I. 머리말 II. 다중언어주의와 언어 평가·한국어 말하기 평가 III. 다중언어주의와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접목 IV. 맺음말
본고는 다중언어시대의 이데올로기, 변화된 의사소통 방식, 언어 경관 등을 반영하여 한국어 말하기 시험이 어떻게 변화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다중언어주의의 개념을 고찰하고 언어 평가와의 관련성을 논의하였으며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연구사 검토와 현황을 조사하여 비판적 관점으로 기술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평가는 다중적 문해력, 상호작용 전략, 레퍼토리의 크기, 창발성이 구인으로 재고되어야 한다. 둘째, 시험 과업은 복수의 말하기 수행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맥락과 가치가 내재되어야 하고 스토리텔링이 적극 도입되어야 하며 대화 참여자의 수행 변인이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다중언어시대의 언어 경관을 반영하여 광고물, 기호, 표지판, SNS 콘텐츠 등이 시험입력물로 널리 사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중언어시대의 사회적 단면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기반으로 타당한 한국어 말하기 평가를 설계하고 실행하기 위한 방향을 시론적으로 개진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explores how to change the Korean speaking test to reflect the plurilingualism, the changed communication style, and the language landscape. To this end, the concept of plurilingualism and the relevance of language assessment were discussed. In addition, the state of Korean Speaking Assessment was investigated and describ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followings are established: First, the Korean learners’ speaking test should be reconsidered as multiple literacy, interaction strategy, size of repertoire, and emergence. Second, the task of speaking test should include various contexts and values to be able to carry out multiple spoken words. Storytelling task should be actively introduced and the performance variables of dialogue participants should be considered. Third, advertisements, symbols, signs, SNS contents should be used as test prompt reflecting the language landscape of the pluri-lingual era.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0권 0호 ~ 58권 0호 |
|
60권 0호 ~ 71권 0호 |
|
59권 0호 ~ 66권 0호 |
|
72권 0호 ~ 82권 0호 |
|
53권 0호 ~ 53권 0호 |
|
67권 0호 ~ 74권 0호 |
|
75권 0호 ~ 82권 0호 |
|
75권 0호 ~ 82권 0호 |
|
29권 0호 ~ 29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83권 0호 ~ 89권 0호 |
|
27권 3호 ~ 27권 3호 |
|
54권 3호 ~ 54권 3호 |
|
60권 0호 ~ 60권 0호 |
한국어교육연구 |
14권 2호 ~ 14권 2호 |
|
76권 0호 ~ 76권 0호 |
중한언어문화연구 |
16권 0호 ~ 16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
85권 0호 ~ 85권 0호 |
|
33권 2호 ~ 33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