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n Instructional Speech Model for Audience Consideration Education ―With a Focus on University Application
I. 서론 II. 연구 방법 및 절차 III. 청중 고려를 위한 발표 수업 모형: 분석 IV. 청중 고려를 위한 발표 수업 모형: 설계 V. 청중 고려를 위한 발표 수업 모형: 개발, 실행, 평가 VI.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에서 개설되는 화법 수업 및 교양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청중 고려를 위한 발표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수업 모형은 교수체제 설계의 일반 모형인 ADDIE의 단계에 따라 구안되었고, 충남 소재의 1개 대학 강좌에 적용한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ADDIE 모형의 단계에 따라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흐름으로 진행된다. 이 수업 모형은 학습자의 모든 말하기에서 필요한 청중 고려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한다. 설득 화법 구성 및 청중 고려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실제 말하기를 통해 학습한 원리와 방법을 적용하며, 수업 전반에서 화자와 청자의 상호교섭성을 경험하며, 평가를 통해 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할 것을 기본적인 원리로 삼는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for audience consideration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in “liberal arts speech” classes at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instructional model is to strengthen the learners’ skills with regard to audience consideration and persuasive expression. The model is organized to instill an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and methods used to practice audience consideration, as well as how to apply the concepts learned to practical persuasive speech exercises. Furthermore, this instructional model was designed so that learners can rotate between active speaker and listener roles, as well as serve as evaluators. The “instructional speech model for audience consideration education” in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DDIE, a general model for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This study reported on the specific model design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model’s application in a university setting.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0권 0호 ~ 58권 0호 |
|
60권 0호 ~ 71권 0호 |
|
59권 0호 ~ 66권 0호 |
|
72권 0호 ~ 82권 0호 |
|
53권 0호 ~ 53권 0호 |
|
67권 0호 ~ 74권 0호 |
|
75권 0호 ~ 82권 0호 |
|
75권 0호 ~ 82권 0호 |
|
29권 0호 ~ 29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83권 0호 ~ 89권 0호 |
|
27권 3호 ~ 27권 3호 |
|
54권 3호 ~ 54권 3호 |
|
60권 0호 ~ 60권 0호 |
한국어교육연구 |
14권 2호 ~ 14권 2호 |
|
76권 0호 ~ 76권 0호 |
중한언어문화연구 |
16권 0호 ~ 16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
85권 0호 ~ 85권 0호 |
|
33권 2호 ~ 33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