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of the 2019 European Parliament Elections: The Rise of Far-right Populism and Liberal Centrism
I. 서론 II. 2019 유럽의회선거의 주요 특징 III. 정치그룹별 변화 분석 IV. 자유주의와 보호주의의 대립 V.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2019년 유럽의회선거 결과의 함의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연구는 유럽의회선거가 국내 이슈에 의해 좌우되는 부차적인 선거로 기능한다고 분석해왔으나, 이번 선거는 브렉시트 협상과 극우 포퓰리즘 부상이라는 유럽 쟁점이 부각됐으며, 투표율도 크게 상승하여 2000년대 이후 최고 수치인 50.62%를 기록했다. 각 정치그룹별 의석수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첫째, 유럽의회를 이끌어 오던 유럽인민당그룹(EPP)과 유럽사회민주그룹(S&D)은 과반 의석을 달성하는 데에 실패했다. 둘째, 중도자유주의그룹인 리뉴유럽(Renew Europe)의 의석수가 크게 증가했다. 셋째, 극우 정치그룹은 정체성과민주주의그룹(ID)을 중심으로 결집하여 본격적인 정치세력화를 시도했다. 중도자유주의의 부상은 반-유럽 포퓰리즘 인기에 대한 반작용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중도우파와 중도좌파 그룹이 이민통제와 안보, 고용과 복지를 위한 국가개입 필요성을 강조했기 때문에 리뉴유럽그룹의 개방시장경쟁에 대한 강조는 차별화되는 쟁점을 형성했다. 극우 포퓰리즘과 함께 중도자유주의가 유럽의 정치 균열을 새롭게 재편했으며, 유럽의회에서 ‘자유주의’ 대 ‘보호주의’의 대립구도가 보다 선명해졌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2019 European Parliament elections. Existing studies show that European elections serve as secondary elections dominated by domestic issues. However, the 2019 European elections have highlighted pan-European issues such as the Brexit negotiations and the rise of far-right populism, with voter turnout also rising sharply to 50.62%, which is the highest record since the 2000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hange in the number of parliamentary seats held by each political group. First, the European People’s Party(EPP) and the Progressive Alliance of Socialists and Democrats(S&D), which had hitherto led the European Parliament, failed to achieve a majority. Second, the number of seats won by Renew Europe, a new liberal-centrist group, was considerably high. Third, the far-right groups organized a full-fledged political force by rallying around the Identity and Democracy(ID) group. The rise of liberal-centrism can be explained as a reaction to the popularity of anti-European populism. Renew Europe’s emphasis on open-market competition has created a different issue, especially since the center-left and center-right groups have stressed on the need for state intervention in employment, welfare, security and immigration control. Along with far-right populism, liberal centrism has also reshuffled Europe’s political cleavage, and the conflict between ‘liberalism’ and ‘protectionism’ has become more evident in the European Parliament.
I410-ECN-0102-2019-300-001151044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정부와 정책 |
12권 1호 ~ 12권 1호 |
|
78권 0호 ~ 78권 0호 |
|
18권 1호 ~ 18권 3호 |
|
57권 3호 ~ 57권 3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
33권 3호 ~ 33권 3호 |
The KAPS |
58권 0호 ~ 58권 0호 |
|
33권 3호 ~ 33권 3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28권 3호 ~ 28권 3호 |
|
33권 3호 ~ 33권 3호 |
|
28권 3호 ~ 28권 3호 |
|
26권 2호 ~ 26권 2호 |
|
34권 2호 ~ 34권 2호 |
|
34권 2호 ~ 34권 2호 |
|
16권 2호 ~ 16권 2호 |
|
25권 2호 ~ 25권 2호 |
|
23권 2호 ~ 23권 2호 |
|
57권 0호 ~ 57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