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기관의 위법한 수사행위를 통제하기 위한 여러 장치들이 형사소송법에 마련되어 있으나, 당해 수사조치가 이루어진 단계에서 그 강제처분 자체의 위법성을 다투어 이를 취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는 형사소송법 제417조에 규정되어 있는 준항고에 의한 불복방법이 유일하다. 그러나 이 조항은 불충분하게 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강제처분으로 인해 기본권을 침해받은 대상자의 권리보호가 필요한 영역에서 본연의 기능을 다하고 있다고 볼 수 없는 실정이다. 그 결과 수사단계에서 피의자에게 헌법상 재판청구권을 제대로 보장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에서도 수사상 강제처분에 대해 피의자에게 어떠한 형태로 권리보호를 할 것인지에 대해 오랫동안 논의가 있어 왔다. 독일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준항고와 같은 명문규정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간접적으로 독일형사소송법 제98조 제2항 제2문을 유추적용하여 모든 강제처분에 대해 법원의 재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있고, 그 조치가 이미 종결된 경우에도 법적보호이익이 존재함을 전제로 하여 그에 대한 불복을 허용하고 있다. 또한 특정한 비밀수사조치가 종결되어 그에 대한 통지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01조 제7항 제2문에 따라 법적보호이익의 증명이 없이도 그 위법성의 확인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사기관의 강제처분으로 인해 기본권을 침해받은 피의자의 재판청구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제417조를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제417조가 적용되는 대상처분에 대해 명확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 놓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피의자가 강제처분 전체에 대해 불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적 규정을 두는 방안, 제417조에 문제가 되는 강제처분들을 모두 열거하는 방안, 제417조에는 형사소송법상의 조치들만 열거하고 개별 특별법에서 필요한 경우 제417조를 준용하게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어느 경우든 피의자에게 모든 강제 처분에 대해 불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이미 종결된 처분에 대해서도 재판 청구권을 보장해 주어여 하고, 이를 위해 법률상 이익을 인정할 수 있는 기준을 명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법원의 인용결정이 있는 경우에 수사기관이 이에 따라 조치를 취할 의무를 부과하여야 한다. 궁극적으로는 모든 강제처분의 사유들을 형사소송법에 편입하는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제417조를 통한 법적구제가 더욱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Das koreanische Recht regelt die Quasi-Beschwerde gemaß § 417 kor. StPO, um einem Beschuldigten die Moglichkeit einer richterlichen Uberprufung im Zeitpunkt des Ermittlungsverfahrens anzubieten. Trotzdem erscheint der Rechtsschutz wegen der unzureichenden Regelungsform nicht erfolgreich, so dass eine Reform der Vorschrift ansteht.
In Deutschland sind dagegen alle strafprozessualen Zwangsmaßnahmen im Ermittlungsverfahren nach der herrschenden Meinung anfechtbar. Dies basiert auf Art. 19 IV GG. Was die andauernden Zwangsmaßnahmen angeht, kann der Beschuldigte zunachst nicht nur gegen die Anordnung, sondern auch die Art und Weise der Durchfuhrung der Maßnahmen durch die Staatsanwaltschaft oder Polizei protestieren. Seine Grundrechtseingriffe sind dabei durch eine direkte (bei Beschlagnahme) oder analoge (bei sonstigen Maßnahmen) Anwendung des § 98 Ⅱ 2 StPO zu kompensieren. Der Rechtsschutz erstreckt sich ferner auch auf die bereits erledigten Zwangsmaßnahmen. Bei den in § 101 Ⅰ StPO aufgezahlten heimlichen Ermittlungsmaßnahmen gilt einerseits § 101 Ⅶ 2 StPO als eine Sonderregelung. Zu solchem Antrag bedarf es keines Nachweises eines Rechtsschutzinteresses. Andererseits kann der Beschuldigte gegen die sonstigen abgeschlossenen Maßnahmen nur mit einigen Feststellungsinteressen in analoger Anwendung des § 98 Ⅱ 2 StPO einwenden.
Eine erste Moglichkeit zur Umgestaltung stellt eine gesetzliche Klarstellung des Anwendungsbereichs des § 417 kor. StPO dar. Dazu kommen drei Losungswege in Betracht, in denen der Antrag des Beschuldigten auf die gerichtliche Entscheidung fur die samtlichen Zwangsmaßnahmen gilt. Zudem sind bei der abgeschlossenen Zwangsmaßnahmen die Kriterien zur Annahme des Rechtsschutzinteresses ausdrucklich vorzuschreiben. § 417 kor. StPO muss schließlich die Strafverfolgungsbehorde dazu verpflichten, der Entscheidung des Gerichts zu folgen und eine entsprechende Maßnahme zu ergreifen.
UCI(KEPA)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법학
: KCI등재
:
: 계간
: 1226-0886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4-2020
: 1165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