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choenberg’s String Quartet, No. 3 : When Highly Technical Serialism and Classic Formalism are Collided
Ⅰ. 서론 Ⅱ. 《현악 4중주곡 3번, Op. 30》의 4악장 분석: 형식적 측면 Ⅲ. 《현악 4중주곡 3번, Op. 30》의 4악장 분석: 주요 요소의 발전적 측면 Ⅳ. 결론 참고문헌
본 논문은 쇤베르크가 현악 중주곡 《4 3번, Op. 30》의 4악장을 음렬 작품으로서 그리고 소나타 론도 형식으로서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서로 상반되는 음악적 양상을 공존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시도를 했는지 주요 요소의 분석과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쇤베르크는 아이소모픽 파티쇼닝(isomorphic partitioning) 기법이 악장의 발전 방식으로 채택된 Op. 30의 4악장에서 소나타 론도를 악장의 형식으로 선택한다. 상반되는 음악적 양상을 공존시키기 위하여 먼저 신중하게 기본 음렬을 설계하고, 주요 요소를 짜임새 있게 구상하여 악곡 전체에서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운용한다. 체계적인 음렬 운용의 일환으로서 아이소모픽 파티쇼닝 기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2마디 단위로 병렬 반복하는 선율을 구상하고 동기간 응집을 구축하며, 분할된 각 성부의 음형, 리듬을 같게 하여 응집의 효과를 높인다. 뿐만 아니라 음형, 리듬, 짜임새가 지속적으로 변형되는 각 후렴구에서 아이소모픽 파티쇼닝기법은 동일 주제임을 인식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쇤베르크는 아이소모픽 파티쇼닝 기법이 론도의 주요 부분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작용하도록 하였는데, 이것이 쇤베르크만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음렬 작품과 전통 음악형식을 공존시키는 방법의 일환이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the highly technical serialism and classic formalism can be interrelated, and mutually worked through one of Schoenberg’s mature serial works, String Quartet No. 3, Op. 30. Schoenberg chose the classical sonata rondo form as a formal scheme of the movement, wherein the isomorphic partitioning is served as a developmental method. He deliberately designs and manipulates a given tone row and its derived row forms, and partitions the rows into four instruments, having the same pitch order, set class, pitch interval, rhythm, figure when they are repeated in parallel. The isomorphic partitioning offers coherence and variety among thematic materials by informing the beginning of the main sections, and by presenting the set classes and pitch order that differ from its first statement. Consequently, the isomorphic partitioning becomes a primary factor that not only determines the formal scheme but also makes the classical sonata form coexist in the context of the serial technique.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33권 0호 ~ 33권 0호 |
|
58권 0호 ~ 58권 0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41권 0호 ~ 41권 0호 |
|
20권 2호 ~ 20권 2호 |
|
4권 2호 ~ 4권 2호 |
|
26권 1호 ~ 26권 1호 |
|
4권 1호 ~ 4권 1호 |
|
23권 2호 ~ 23권 2호 |
|
62권 0호 ~ 62권 0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
32권 0호 ~ 32권 0호 |
|
47권 0호 ~ 47권 0호 |
|
57권 0호 ~ 57권 0호 |
|
23권 1호 ~ 23권 1호 |
|
40권 0호 ~ 40권 0호 |
|
20권 1호 ~ 20권 1호 |
|
25권 2호 ~ 25권 2호 |
|
3권 2호 ~ 3권 2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