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ggestion for a Literary Festival to Revive Baek Shinae-ness of Baek Shinae
1. 지역 문화인물로서 백신애 2. 2기 여성문단과 백신애의 독자성 3. 미끄러지는 젠더 수행: 지식과 행동의 간극 4. 나다움: 신여성 되기와 연애하는 주체 5. 문학제가 백신애를 기억하는 방식 6. 다시, 백신애를 기념하기
백신애는 당대 남성 작가들에 의해 생전 행적이 ‘스캔들’로 소비되며 작가로나 인간으로나 곡해되어왔다. 이 글은 ‘백신애다움을’ 규명하고자 2기 여성문단에서도 비주류였던 백신애의 생애와 문학을 버틀러의 ‘젠더 수행성’이론에 기대 독해했다. 백신애가 수행한 젠더는 세 측면에서 두드러진다. 백신애는 당대 문단에 통용된 ‘여류문사’, ‘여류 작가’라는 고정된 정체성을 거부하는 수행적 주체였다. 가출은 여성 문단의 변방에서 백신애가 반복적인 ‘행동’을 통해 독자적인 젠더를 수행했던 핵심 요소이다. 백신애가 사회주의 활동가, 신여성으로서 습득한 근대적 지(知)와 행(行)은 충돌하는 행태를 보이지만, ‘행위 뒤에 행위자’는 없다는 버틀러의 주장처럼, 엘렌 케이를 수용하고 양친의 뜻대로 결혼 후 다시 이혼을 주도하는 과정에서 백신애는 ‘패러디적 정체성’을 보이는 젠더를 수행한다. 인생의 말기에 백신애는 그간 견지했던 ‘연애는 사사(私事)’라는 태도를 깨고 열렬하게 ‘연애하는 주체’가 된다. 병상에서 백신애가 자문한 ‘나다움’, 다시 말해 ‘백신애다움’은 가출, 이혼, 연애 스캔들을 거쳐 권력 규범과 법을 균열하고 해방을 추구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그러나 12회까지 진행된 백신애문학제에서 백신애의 여성문제 인식과 그 젠더적 함의에 관한 논의나 관련 행사는 부족하다. 오늘날 백신애가 수행한 젠더를 초점화하는 것은 그간 기념사업회와 문학제가 집중했던 민족문학작가 백신애를 넘어 소수자의 인권과 공명하는 백신애(문학)를 재조명하는 의미가 있다.
Baek Shinae was misunderstood in terms of a writer and a human being, because the behaviors in her lifetime was stigmatized as ‘scandal’ by male writers of the time. In order to clarify 'Baek Shinae-ness of Baek Shinae', This study interpreted the life and literature of Baek Shinae, who was an outsider in the second women’s literary circles as well, based on Judith Butler’s Theory of Gender Performativity. The gender performed by Baek Shinae is conspicuous in three aspects. Baek Shinae refused the fixed identity of a ‘female writer’ that incorporated in the women’s literary circles of the time and acted accordingly. Running away from home is a key factor that Baek Shinae performed her unique gender through repetitive ‘actions’ on the edge of the women’s literary circles. At that time, the modern knowledge and action that she acquired and performed as a socialist activist and a New Woman conflicted each other. However, as Butler argues that there is no doer behind the deed, gender performance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Ellen Karolina Sofia Key and leading divorce after marriage according to her parents’ will is the key to understand Baek Shinae. Baek Shinae abandoned the attitude of ‘Love is private’ that she had maintained, and became ‘the subject who is loving’ fervently, in her last years. The ‘being me,’ or ‘Baek Shinae-ness of Baek Shinae,’ which she asked herself in her sickness, went through running away from home, divorce, love scandal and advanced into cracking power norms and laws and pursuing liberation. However, there have been a lack of discussions and related events on the recognition of women's problems and their gender implications in the literature festival of Baek Shinae, which lasted until 12 times. The focus on the gender that Baek Sinae has performed today is meaningful to re-examine the rights of minority and the resonating Baek Sinae(literature) beyond the national literary writer Baek Sin-ae, which has been concentrated by the Memorial Society and the Literary Festival.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21권 2호 ~ 21권 2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21호 ~ 2020권 22호 |
|
46권 3호 ~ 46권 3호 |
|
53권 0호 ~ 53권 0호 |
|
28권 2호 ~ 28권 2호 |
|
44권 3호 ~ 44권 3호 |
|
51권 2호 ~ 51권 2호 |
|
26권 3호 ~ 26권 3호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구 여가웰니스학회지) |
11권 2호 ~ 11권 2호 |
|
18권 2호 ~ 18권 2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20호 ~ 2020권 20호 |
|
30권 2호 ~ 30권 2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19호 ~ 2020권 19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
12권 2호 ~ 12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