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CFO의 관점에서 시사점을 이끌어내기 위해 KOSDAQ 시장의 설립 이후 2002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여 국제자본이동과 주가변동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전반적인 경제상황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글로벌 금융위기의 발생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각각의 기간 동안 국제자본이동과 주가변동성의 관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Granger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두 변수 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없었지만 금융위기의 발생 이후 유의한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 분석에 의하면 대형주와 중형주에서 유의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대형주에서는 직접투자형태의 국제자본이동과 주가변동성 간의 유의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일반화 충격반응함수의 결과에 의하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두 변수 간의 관련성이 크지 않았지만 금융위기 발생 이후 국제자본이동에 의해 주가변동성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FO의 관점에서 기업가치의 안정적인 극대화를 위해 자본이동의 형태와 금융위기 발생에 따른 경제상황의 변화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In order to take some implications in terms of CFO,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capital movement and stock price volatility in KOSDAQ market from 2002 to 2016. Additionally, this paper separated the period by global financial crisis - September 2008. On the basis of results of Granger causality test, I could fi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capital movement and stock volatility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in contrast with the result before global financial crisis. According to the analyses results by firm size, capital movemen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arge and medium-capital stock. Meanwhile, international capital movement had less relevance in stock volatility before global financial crisis based on the results of generalized impulse-response function. However, international capital movement had effects on stock volatility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FO should consider precisely capital movement and economic conditions to achieve the stable maximization of corporate values.
UCI(KEPA)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경영학
: KCI등재
:
: 계간
: 1226-8380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8-2020
: 778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