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검색어 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
논문 상세보기
홈한국환경철학회>환경철학>청소년 사이버윤리로서의 SNS과의존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대한 연구 -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
청소년 사이버윤리로서의 SNS과의존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대한 연구 -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
A Study on the Dependence of SNS and the Behavior of Cyber Bulling as Adolescent Cyber Ethics -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through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
이 연구는 SNS과의존-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인과적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라는 매개변인을 투입하였고, 사이버불링을 완화하는 보호적 요인으로서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라는 변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에서 생산한 인터넷중독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데이터이며 총 표본수는 811케이스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통계패키지와 PROCESS Macro v. 3.1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SNS과의존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독립변수인 SNS과의존과 종속변수인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조절효과 분석인 것으로 판별되었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SNS과의존-학업스트레스-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매개적 경로에서 SNS과의존과 상호작용하여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고, 궁극적으로 사이버불링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가 나타남을 밝혔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아버지와의 개방적 소통이 사이버불링 가해행위를 낮추는 조절적 기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족내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비롯한 청소년 자녀와의 개방적인 소통을 강조해야 한다는 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아버지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학업스트레스는 스트레스를 받는 본인 뿐 아니라 사이버불링의 형태로 사회적 문제를 가중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이버윤리의 측면에서 사이버불링의 가해자가 피해자가 되고 피해자가 가해자로 쉽게 전환될 수 있는 현재의 환경적 구조에 대한 사회전반의 성찰과 대안 마련이 시급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mediating variable called academic stres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NS-dependent cyberbullying behavior. In this model, the main purpose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by introducing a control variable called open communication with the father as a protective factor to alleviate cyber bulling. As a result, academic st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nd cyber bulling behavior.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was determined to be mediated moderating effect analysis by controlling cyber bulling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 and SNS as independent variable. Lastly,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revealed that the mediators of reliance on SNS-academic stress-cyberbulling have a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ng with SNS to lower academic stress and ultimately reduce cyberbulling.
UCI(KEPA)
간행물정보
: 인문과학분야 > 기타(인문과학)
: KCI등재
:
: 반년간
: 1738-8988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02-2020
: 204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