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en Transition Policies to enhance sustainability of South Korean society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 3. 이론적 자원: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녹색전환’ 4. 신자유주의적 개발국가 한국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평가 5. 한국사회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녹색전환 정책들 6. 결론 참고문헌
이 논문은 개발 패러다임을 가장 성공적으로 구현한 개발국가 한국이 경제규모의 성장에는 성공했으나, 사회적, 생태적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기후위기와 같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한국사회는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녹색전환(green transition)’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선행연구로 녹색국가론과 생태복지국가론 등을 검토하였다. ‘녹색전환’에서 ‘녹색’의 의미는 생태민주주의 담론을 의미하며, ‘전환’은 전면적 개혁(transformation)을 지향하면서도 점진적인 실천의 지평을 확대해가는 변화(transition)로 이해하고자 한다. 그리고 다양한 전환 이론들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프레임워크를 채택하였다. 신자유주의가 고착화된 한국의 지속가능성을 형평성, 미래성, 생태성이라는 기준으로 평가해 보았으며 한국의 지속가능성은 상당히 악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한국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녹색전환 전략들을 각각 형평성(그린뉴딜, 기본소득), 미래성(미래 세대를 위한 정치시스템, 토지의 공유자원적 성격 제고), 생태성(생태용량을 고려한 개발, 개발 패러다임의 도시편향성의 극복)의 제고라는 목표에 맞춰서 제시하였고, 통합적 전환정책의 프로세스에 따라 실천단계를 제시해 보았다.
This paper regards that South Korea as developmental state has achieved splendid success in terms of economic growth while experiencing se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damage. Facing of new challenges, such as climate emergency, it argues that South Korean society must adopt “green transition policies”. It reviews several papers and books related ‘green state’ and ‘ecological welfare state’ discourses. And, comprehensive transition framework which merges various transition theories is adopted for implementation process of green transition policies. Based on such review, it suggests that ‘green transition’ should be based on the ideology of ‘ecological democracy’. And,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where neo-liberalism prevails, the sustainability which can be understood as ‘equal relationship’ within-and-between generations and human and non-human beings has been seriously degraded. Therefore, it suggests ‘green transition policies’ to enhance sustainability as followings; green new deal, basic income, political system change for future generation, enhancing commonality of land, development within carrying capacity, and to overcome urban bias in development paradigm.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for green transition policies are also suggested.
I410-ECN-0102-2021-300-000952860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4호 ~ 2021권 5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
29권 1호 ~ 29권 1호 |
|
14권 4호 ~ 14권 4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3호 ~ 2021권 3호 |
사회과학연구 |
14권 1호 ~ 14권 1호 |
|
33권 2호 ~ 33권 2호 |
|
77권 0호 ~ 77권 0호 |
|
27권 1호 ~ 27권 1호 |
|
22권 1호 ~ 22권 1호 |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
19권 0호 ~ 19권 0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1호 ~ 2021권 2호 |
문명연지 |
21권 1호 ~ 21권 1호 |
|
128권 0호 ~ 128권 0호 |
|
37권 0호 ~ 37권 0호 |
|
52권 4호 ~ 52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