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재활 로봇에 대한 인식 내용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향후 작업치료용 재활로봇의 개발·보급 및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되는 이론적, 실무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부산 및 울산광역시의 작업치료학과 재학생 119명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문항, 재활로봇에 대한 인식 내용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 배부 및 회수 기간은 2020년 4월 20일부터 4월 24일이었다.
연구결과 : 작업치료학과 재학생들의 재활로봇에 대한 인식 내용은 ①재활로봇 인식(Q1), ②재활로봇의 기대효과(Q2~6), ③재활로봇과 작업치료와의 연관성(Q7~11), ④향후 재활로봇 교육을 받을 의향(Q12)의 4개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 학년, 임상실습 경험 유무에 따라 4개 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재학생들의 재활로봇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내용을 실증 분석하고 그 의미를 논의함으로써, 재활로봇의 보급화·상용화 및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전공 소양 심화에 모두 도움이 되는 이론적, 실무적, 교육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Objective : The p u rpose of this s tudy was to use a s a basic data for f urther research on the need for edu cation on future care robots and future care robots by identifying occupational therapy and students' awareness of the robot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by 119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e cities of Busan and Ulsa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question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even questions related to recognition of the fourth industry, and 12 questions related to recognition of the care robot. The questionnaire distribution and retrieval period was from April 20 to 24, 2020.
Results :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perceptions of rehabilitation robots(①Recognition about rehabilitation robots(Q1), ②Expected effects of rehabilitation robots(Q2~6), ③Association between rehabilitation robots and occupational therapy(Q7~11), ④Intention to receive education of rehabilitation robots(Q12)) were positive, and it was analyzed that all four are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grade, and clinical experience.
Conclusion : This study analyzed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habilitation robots and their meanings, thereby providing theoretical, practical, and educational foundations that help both the popularization and rehabilitation robots and the improve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majors.
UCI(KEPA)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사회복지
: KCI등재
:
: 반년간
: 2288-3606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09-2020
: 207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