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nalysis of Child Care Teachers’ Role Cognition With Q Methodology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역할에 대한 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Q 분류는 27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4일에서 14일까지 이루어졌다. 1유형은 ‘돌봄지향형’으로 교사들이 부모 대리자로 유아들을 사랑으로 보살피고 돌봐주는 양육자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2유형은 ‘환경적 안전 추구형’으로 교육 활동의 공간이 최적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교육 환경을 배치하여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는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3유형은 ‘통합적 학습 촉진형’으로 교사가 체계적인 교수 방법과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을 계획 수행하여 유아들의 경험 활동을 확장하고,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촉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4유형은 ‘전문적 성장 지향형’ 으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교사의 자질을 높이고,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4개의 역할 유형으로 도출 되었다. 이러한 역할인식 연구는 교사들의 교육 방법을 개선하고 유아 보육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체계적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tract types of perceptions of roles that childcare teachers perform, using Q methodology. Targeting 27 subjects, Q sort was carried out from December 4th to 14th 2019. First, Type 1 is caring role type. Here,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the role of a fosterer’ who is looking after infants and toddlers with love as parents (or as legal representatives), second, Type 2 is ‘educational environment safety pursuit’ indicating creation of physic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infants and toddlers, third, Type 3 is ‘mutual cooperation in decision making’ indicating role performance for efficient decision making, and fourth, Type 4 is ‘professional growth as calling’ indicating improvement of quality as teach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easeless efforts through professional training.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ole perception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to seek systematic plans for improving education methods of teacher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2권 4호 ~ 52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21호 ~ 2020권 22호 |
|
46권 3호 ~ 46권 3호 |
|
53권 0호 ~ 53권 0호 |
|
28권 2호 ~ 28권 2호 |
|
44권 3호 ~ 44권 3호 |
|
51권 2호 ~ 51권 2호 |
|
26권 3호 ~ 26권 3호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구 여가웰니스학회지) |
11권 2호 ~ 11권 2호 |
|
18권 2호 ~ 18권 2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20호 ~ 2020권 20호 |
|
30권 2호 ~ 30권 2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19호 ~ 2020권 19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