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jective Recognition Type of Counseling Professional for Suicid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살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주관적 인식유형과 그 특성을 분석했다. Q 분류는 2020년 7월 20일부터 30일까지 11일 동안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4개의 요인을 도출했다. 제1유형(충동적인 행동)은 자살을 ‘충동적인 행동’의 결과로 인식하는 유형으로 자살은 개인의 권리가 아니며, 사회에 공적 책임이 있는 것으로 이해했다. 제2유형(개인의 힘듦)은 자살을 ‘개인의 힘듦’ 결과로 인식하면서 자살은 주변인의 도움으로 예방 가능한데 특히 전문가의 적극적인 상담과 관리로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고 평가하는 유형이다. 제3유형(주변인의 무관심)은 자살을 ‘주변인의 무관심’으로 인식하는 유형으로 가족 및 주변인들의 도움에 의해서 자살에 대한 유혹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제4유형(의지의 나약함)은 자살을 ‘의지의 나약함’으로 인식하는 유형으로 개인의 의지가 자살극복의 주요 요인임을 강조했다. 향후 자살예방 및 자살생존자 상담을 위한 효율적인 상담자의 전략에 관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applied the Q methodology to analyze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 of counselors about suicide. Q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for 11 days from July 20, 2020. As a result of analysis, four factors were derived. The first type (impulsive behavior) is one that perceives suicide as a result of ‘impulsive behavior’. They understood that suicide was not an individual right, but a public responsibility to society. The second type (individual hardship) recognized suicide as a result of ‘individual hardship’. They believe that suicide can be prevented with the help of neighbors, and active counseling and management by experts are especially important. The third type (the indifference of the neighbors) recognized suicide as ‘the indifference of the neighbors’. They thought people could overcome suicidal thoughts with the help of their families and neighbors. The fourth type (weakness of will) is a type that recognizes suicide as ‘weakness of will’, emphasizing that individual will is the main factor in overcoming death.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effective counselor strategies for suicide prevent.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2권 4호 ~ 52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21호 ~ 2020권 22호 |
|
46권 3호 ~ 46권 3호 |
|
53권 0호 ~ 53권 0호 |
|
28권 2호 ~ 28권 2호 |
|
44권 3호 ~ 44권 3호 |
|
51권 2호 ~ 51권 2호 |
|
26권 3호 ~ 26권 3호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구 여가웰니스학회지) |
11권 2호 ~ 11권 2호 |
|
18권 2호 ~ 18권 2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20호 ~ 2020권 20호 |
|
30권 2호 ~ 30권 2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19호 ~ 2020권 19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