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Recognition of Game Players in Online Games
10.23875/kca.28.4.7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Research Method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References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 오버워치와 리그 오브 레전드 이용자를 대상으로 게이머 성별 인식에 따라 게임 문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다루어지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온라인 게임 <오버워치>와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을 모두 진행한 경험이 있는 20대 게이머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게임 소비 환경에서 여성 차별적인 게임문화는 특히 경쟁적인 팀 기반 게임 중에 게이머들, 특히 여성 게이머로 인지되었을 때 경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문화와 여성 혐오적 태도는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온라인 게임 자체에서 파생되는 것이라기보다는 게이머들의 태도와 인식에 의해 나타나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게임문화 내부의 성차별적 특성으로 인해 게이머들이 경험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향후 게임소비 환경에서 나타나는 성 고정관념 문제에 대한 인식 및 성 평등 제고연구가 필요하다.
The growing popularity of the internet has led to a similar rise in online video games popularity. Computers and video games are now inseparable for numerous people because anyone can access video games in their leisure time to relax and have fun. This research analyzes gender recognition and toxicity in the online Overwatch and League of Legends player communities. Toxicity and misogyny are problems that most gamers, especially girl gamers, have experienced on mostly competitive, team-based games. This research focused on Americans in their twenties who play both gam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er found that toxicity and misogyn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Neither are provided by the game itself, but instead from the players who have created “toxic and misogynistic” gaming culture. It is also found that most toxicity happens primarily to girl gamers because of the misogynistic nature inside gaming culture.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
19권 0호 ~ 19권 0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1호 ~ 2021권 2호 |
문명연지 |
21권 1호 ~ 21권 1호 |
|
128권 0호 ~ 128권 0호 |
|
37권 0호 ~ 37권 0호 |
|
52권 4호 ~ 52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21호 ~ 2020권 22호 |
|
46권 3호 ~ 46권 3호 |
|
53권 0호 ~ 53권 0호 |
|
28권 2호 ~ 28권 2호 |
|
44권 3호 ~ 44권 3호 |
|
51권 2호 ~ 51권 2호 |
|
26권 3호 ~ 26권 3호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구 여가웰니스학회지) |
11권 2호 ~ 11권 2호 |
|
18권 2호 ~ 18권 2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