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n the Welfare Center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농촌에 거주하는 여성노인들의 운동유무에 따른 낙상효능감(FES-K), 낙상위험지각(PFR) 및 주관적 건강(SRH)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65세 이상 농촌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χ2, t-test,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동유무에 따른 낙상효능감(p<.05)과 주관적 건강상태(p<.05)는 운동그룹이, 비운동그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낙상위험지각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운동특성에서 운동빈도는 운동시간(p<.001), 운동기간(p<.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운동시간의 경우 낙상효능감(p<.05)과 주관적 건강(p<.01)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낙상위험지각은 낙상효능감(p<.001)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은 낙상효능감(p<.001)과 정적 상관관계, 낙상위험지각(p<.01)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운동참여는 낙상효능감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며, 농촌 여성노인들의 낙상효능감, 낙상위험지각 및 주관적 건강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농촌 여성노인의 규칙적 운동의 실천 가능성을 높이는 다양한 여가활동들이 농촌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Falls Efficacy Scale, Perception measurement of Fall Risk, and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the Elderly Women's Exercise Habits in the Rural Community. Th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he Elderly Women aged 65 and older in the Rural Community, and the analysis results of χ2, t-test, and correlations. First, Falls Efficacy Scale and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the exercise habi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Non-exercise group. Second, exercise frequenc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xercise time and exercise period in exercise characteristics. Exercise tim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Falls Efficacy Scale and Self-Rated Health. Perception measurement of Fall Risk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alls Efficacy Scale.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 exercise participation has an effect on Falls Efficacy Scale and Self-Rated Health, and there were close relationships among Falls Efficacy Scale, Perception measurement of Fall Risk, and Self-Rated Health. Thus, it is thought that various leasure activities to increase the practice rate in rural elderly women's regular excercise in the rural community.
I410-ECN-0102-2021-300-001224345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4호 ~ 2021권 5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
29권 1호 ~ 29권 1호 |
|
14권 4호 ~ 14권 4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3호 ~ 2021권 3호 |
사회과학연구 |
14권 1호 ~ 14권 1호 |
|
33권 2호 ~ 33권 2호 |
|
77권 0호 ~ 77권 0호 |
|
27권 1호 ~ 27권 1호 |
|
22권 1호 ~ 22권 1호 |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
19권 0호 ~ 19권 0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1호 ~ 2021권 2호 |
문명연지 |
21권 1호 ~ 21권 1호 |
|
128권 0호 ~ 128권 0호 |
|
37권 0호 ~ 37권 0호 |
|
52권 4호 ~ 52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