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성격 5요인이 온라인 수업 내 상호작용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고,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으로 배포ㆍ회수되었는데 총 257부를 회수하였고, 정제를 거쳐 총 217부를 최종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1의 성격 5요인은 온라인 수업 내 상호작용 하위요인 중 학습자 외적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성, 우호성은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경증은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1-2의 성격 5요인은 온라인 수업 내 상호작용 하위요인 중 학습자 내적 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은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2의 온라인 수업 내 상호작용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 외적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변수임이 입증되었다. 온라인 수업 내 상호작용 과정에서 교수와의 의사소통, 교수와의 질의응답, 콘텐츠의 질, 학습관리시스템 등으로 요약되는 학습자 외적요인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보다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향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수업 내 상호작용 과정에서 학습자-교수자, 학습자-학습환경 등을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demonstrated a methodology that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for students play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within the online class and online class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drawn. First, does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effect interaction within the online class? Second, does the relationship within the online class effect online class satisfaction? For the study, using 217 self-reported online survey data from students across the college and university. The conclusion from the analysis indicated as follows. First, five factors including 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neuroticism(OCEAN) were derived as student’s personality traits. Seco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had a partially positive relation to the degree of interaction within the online class, especially student’s external factors(extraversion, agreeableness, neuroticism), and student’s internal factors(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Third, interaction within the online class had a positive relation to the degree of online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hypothesis 2.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contributed most to interaction within the online class & online class satisfaction in the university students.
UCI(KEPA)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교육
: KCI등재
:
: 계간
: 1229-7291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6-2021
: 716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