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Virtue-based Approach
10.38199/KJE.9.5
1. 들어가는 글 2. PBE 개정 과정에서 덕성 또는 덕윤리의 변화 3. 나오는 글: PBE에서의 덕성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참고문헌】
생명의료윤리학 영역에서 교과서와 같은 위상을 가진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The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이하 ‘PBE’)』은 생명의료윤리학이 태동하기 시작한 1979년 초판이 발행된 이후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논쟁을 통해 개정을 거듭해 오면서 2019년 여덟 번째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본 논문은 PBE의 개정 과정에서 덕성(virtue) 논의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PBE의 저자인 뷰첨(Tom Beauchamp)과 칠드레스(James Childress)(이하 ‘BC’)는 초판부터 덕성 논의가 자신들의 논의에 있다고 강조하면서 자신들이 덕성 논의를 등한시했다거나 경시했다는 평가는 오해라고 강변한다. 본 논문은 PBE 초판부터 덕윤리가 논의된 것은 사실이지만, PBE에서 갖는 그 위상과 역할에 대해서는 변화가 있다고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초판부터 마지막 개정인 8판까지의 개정 방향성인 ‘실천적 부분으로부터 이론적 부분으로의 체계화’라는 해석과 일치하며, 8판에서의 덕성 논의개정으로 어느 정도 PBE의 이론적 체계화가 구축되었다고 평가한다. ‘도덕의 구조’와 ‘도덕 층위’ 논의를 통한 분석은 PBE의 이론적 체계화가 단순히 이론이 정교화 되었다는 의미가 아니라, 실천을 목적으로 하는 윤리이론인 PBE의 논의가 갖춰야 할 이론적 완결성, 즉 1인칭, 2인칭, 3인칭 관점이 체계적으로 통합된 완결성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완결성 관점의 분석에서 PBE의 개정 역사를 볼 때, PBE를 원칙 중심 논의라기보다는 공통도덕 논의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icate how role and position of virtue have been changed in revisions of The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hereafter, PBE) and to argue that this change shows PBE has tried to establish its theoretical completion, namely, the systematic integration of 1st, 2nd, and 3rd persons in the structure of ethics. For this purpose, I analyse the revisions of PBE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e of ethics, focusing on the concept of virtue. I classify the revisions of PBE into three steps; PBE 1st~3rd, PBE 4th, and PBE 5th~8th. In the first step, the role of virtue ethics is supplementary to the 4 principles. This is because PBE focused on the 3rd person of ethics. In the second step, the role of virtue ethics is transitional in that virtues are used variously but not theoretically. In the third step, virtues and 4 principles are based on the same foundation, namely, common morality and virtues have been used to cooperate with the 4 principles gradually. In this step, they are not supplementary but operational in the systematic integration of 1st, 2nd, and 3rd persons. Especially in the 8th edition of PBE, PBE shows how virtues and 4 principles are cooperative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 of disclosure of medical errors. This change, namely the cooperative role of virtues with 4 principles shows that PBE is not the principles-centered approach or the four-principles framework, but the common morality based approach.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62권 0호 ~ 62권 0호 |
|
87권 1호 ~ 87권 1호 |
|
40권 1호 ~ 40권 1호 |
|
42권 0호 ~ 42권 0호 |
|
32권 1호 ~ 32권 1호 |
콘텐츠문화연구 |
3권 0호 ~ 3권 0호 |
|
22권 0호 ~ 22권 0호 |
|
94권 0호 ~ 94권 0호 |
|
132권 0호 ~ 132권 0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122권 0호 ~ 122권 0호 |
문학/사학/철학 |
64권 0호 ~ 64권 0호 |
|
73권 4호 ~ 73권 4호 |
인문학 연구 |
49권 0호 ~ 49권 0호 |
|
73권 3호 ~ 73권 3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73권 2호 ~ 73권 2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
73권 1호 ~ 73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