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uistry and Practical Wisdom in The Abuse of Casuistry
10.38199/KJE.9.7
1. 들어가는 글 2. 실천적 지혜의 능력과 상황에 합당한 판단 3. 상황에 합당한 판단과 의료 전문가 4. 나가는 글을 대신하여: 상황에 합당한 판단과 제도적 평면 【참고문헌】
본 논문에서는 임상 현장이라는 현실 세계 내에서 실질적인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는 유덕한 의료 전문가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을 제기하고 그것을 해명하고자 한다. “누구?”라는 물음이 단지 인식론적인 물음이 아니라 도덕적 행위 주체를 해명하는 물음과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임상 현장에서 행위 주체로서 전문가가 현실 세계에서 발생하는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생긴다. 본 논문은 임상 현장에서 발생하는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합한 방법론 중의 하나인 결의론(casuistry)에서 제시하는 행위자가 실천적 지혜를 행하는 존재라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때 실천적 지혜가 무엇인지 해명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결의론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적 인식(episteme)”과 “실천적 지혜(phronesis)”의 구분을 원용하고 있는 점을 재구성한 후, 이런 구분이 의도하는 바가 실천이 이론 독립적이라는 것임을 부각시킨다. 이를 바탕으로, 이론 독립성을 지닌 실천적 지혜는 상황에 합당한 판단임을 분석할 것이다. 이런 분석은 임상 현장에서 의료 전문가가 무엇으로 유덕한 도덕적 행위자가 되는지를 해명하는 단초가 된다. 그런 다음에 본 논문은 임상 현장이라는 현실 세계에서 상황에 합당한 판단이 임상 영역이라는 특수성에 합당한지 분석한 후, 상황에 합당하게 판단하는 전문가가 자신이 대하고 있는 타자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 그의 덕성이 드러나야 하는 공간이 임상 현장뿐만 아니라 제도적 평면과도 관련된다는 것을 논의할 것이다.
This paper delves into the question of a virtuous medical professional who solves moral problems in clinical settings. Assuming that this question is related to the issues of a moral agency rather than simply epistemological ones, it is necessary to address if and how a professional as an agency in clinical settings should be able to solve practical problems in the real world.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agency presented in The Abuse of Casuistry is the one who practices practical wisdom. In order to explain practical wisdom, this paper reconstructs how casuistry quotes Aristotle’s original distinction between ‘epitome’ and ‘phronesis’; and then illuminates the fact that practice is independent of theory. Based on this, this paper analyzes that practical wisdom with theoretical independence is a reasonable judgement suitable for situations. This analysis provides the basis for explaining what competence makes a medical professional a virtuous agency. This paper then analyze if and how reasonable judgments are appropriate for specific situations like clinical settings.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virtues of a professional are related to the institutional dimension as well as clinical setting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62권 0호 ~ 62권 0호 |
|
87권 1호 ~ 87권 1호 |
|
40권 1호 ~ 40권 1호 |
|
42권 0호 ~ 42권 0호 |
|
32권 1호 ~ 32권 1호 |
콘텐츠문화연구 |
3권 0호 ~ 3권 0호 |
|
22권 0호 ~ 22권 0호 |
|
94권 0호 ~ 94권 0호 |
|
132권 0호 ~ 132권 0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122권 0호 ~ 122권 0호 |
문학/사학/철학 |
64권 0호 ~ 64권 0호 |
|
73권 4호 ~ 73권 4호 |
인문학 연구 |
49권 0호 ~ 49권 0호 |
|
73권 3호 ~ 73권 3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73권 2호 ~ 73권 2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
73권 1호 ~ 73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