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cident of Girl Students’ Anti-Japanese Demonstration at Seoul in 1930
Ⅰ. 광주학생운동과 ‘1930년 서울 여학생만세운동’ Ⅱ. 「신문조서」의 자료적 가치 Ⅲ. 1930년 서울 여학생 만세운동의 제 측면 Ⅳ. 「신문조서」를 통해서 본 여학생의 일반적 상황 Ⅴ. 1930년 서울 여학생 만세운동의 결과 및 의의
이 연구는 1929년 11월의 광주에서 시작된 학생운동의 영향을 받아 1930년 1월 15∼16일 서울에서 전개된 여학생들의 연합 시위를 ‘1930년 서울여학생 만세운동’이라고 부르고, 시위 당시 연행된 학생들을 상대로 일제 경찰이 작성한 신문조서를 통해 사건의 구체적 전개과정, 만세운동을 끌고가는 여학생의 주체성, 거기에 참가했던 여학생 개인의 의식과 상황 등을 밝혔다. 근우회의 여성들과 여학생들은 광주학생운동이 일본인 남학생이 조선인 여학생을 희롱한 데서 발단이 되었다는 점에 주목했고 서울 시내거의 모든 여학교가 시위에 참여하면서 남학생들의 참여를 촉구하는 형식으로 시위가 진행되었다. 또한 신문조서를 통해 개화한 지역 출신이 많고 월 20원 정도의 학자금을 송금할 수 있는 집안 출신인 것을 확인하는 한편 결혼하고서 여학교를 다닌 경우도 있음을 확인했다. 나아가 시위 참가 경험이 그 이후의 삶에 미친 영향과 아울러 이 사건의 여성사적 의미를 밝혔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Incident of Girl Students’ Anti-Japanese Demonstration at Seoul in 1930. Influenced by the student movement that began in Gwangju in November 1929, the joint demonstration of girl students held in Seoul from January 15th to 16th, 1930 is called ‘Incident of Girl Students’ Anti-Japanese Demonstration at Seoul in 1930’. The Japanese police harshly interrogated the girls arrested during the protests. Through these interrogation records, the general living environment for the girls at the time, the process of the demonstration, and the motives for participation were summarized. The girl students noted that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began when Japanese boy students harassed Korean girl students. So, as a girl student, they thought to actively raise issues. Almost all girls’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demonstration first and urged boy students to participate. Furthermore, this study revealed the impact of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demonstration on their life after tha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demonstra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87권 1호 ~ 87권 1호 |
|
40권 1호 ~ 40권 1호 |
|
42권 0호 ~ 42권 0호 |
|
32권 1호 ~ 32권 1호 |
콘텐츠문화연구 |
3권 0호 ~ 3권 0호 |
|
22권 0호 ~ 22권 0호 |
|
94권 0호 ~ 94권 0호 |
|
132권 0호 ~ 132권 0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122권 0호 ~ 122권 0호 |
문학/사학/철학 |
64권 0호 ~ 64권 0호 |
|
73권 4호 ~ 73권 4호 |
인문학 연구 |
49권 0호 ~ 49권 0호 |
|
73권 3호 ~ 73권 3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73권 2호 ~ 73권 2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
73권 1호 ~ 73권 1호 |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
7권 0호 ~ 7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