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 Processing of Divorce Cases by Local Officials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 Changes and Expansion of Yijue(義絶), Qichu(七出), and Huali(和離) -
Ⅰ. 머리말 Ⅱ. 부부간의 의(義)와 정(情)의 훼손 - ‘청리(聽離)’ Ⅲ. 칠출(七出)과 ‘청종부의(聽從夫意)’ Ⅳ. 화리(和離)를 대하는 지방관의 태도 - 이혼서 중시 Ⅴ. ‘처무기부지조(妻無棄夫之條)’ - 합의의 모색 Ⅵ. 맺음말
이 논문은 『청명집』의 판례를 통해 남송 시기 지방관이 이혼 소송을 다룰 때 보인 공통된 경향을 찾아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지방관은 더 이상부부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했을 때는 부부간 ‘의(義)’가 끊어졌다며 이혼을 명하고, 아내의 간통, 도망, 절도에 대해서는 ‘청종부의(聽從夫意)’로 처리했으며, 화리(和離)에 대해 이혼서의 효력을 중시했고, 여자 쪽의 이혼제기에 대해서는 합의를 위해 중재자를 자처했다. 이로써 당시 이혼 소송의 처리 경향이 당률의 의절(義絶), 칠출(七出), 화리의 범위 속에 있으면서도, 그 구체적 실천에서 그것의 변용과 확장을 확인할 수 있다. 부부 당사자의 의와 정을 강조한 것, 칠출의 정신이 남편에 대한 규제가 아닌 관의 개입에 대한 규제로 실천된 것, 화리에 대해 관이 개입할 수 없음을 강조한 것, 중재자로서 지방관의 역할을 중시한 것 등은 당대와 다른 부부 중심의 소가족 형태인 송대 가족문화를 반영한 것이며, 이혼 소송이 부부(양가)의 의사나 관계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처리된 남송 사법 문화의 특징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commonalities among the divorce cases that local officials from the Southern Song period encountered by analyzing divorce cases from the Qingmingji淸明集. We considered the implications of the commonalities and found that there are finite patterns in the local officials’ judgements from this period. When they determined that a couple could not sustain a marital relation, they allowed divorces by stating that ‘Yi(義)’ between the couple had been broken. In the case of the wife’s misdeeds such as infidelity, flight, or theft, they allowed the husband to make the decision regarding the divorce. In the case of mutual agreement, they fully understood that the bureaucracy had limited power to intervene and upheld the divorce agreement. In the case where the wife’s family filed for divorce, they actively played the role of the mediator in order to bring both parties to an agreement. Therefore, the way disputes between marital couples were discussed and handled were within the boundaries of ‘Yijue(義絶)’, ‘Qichu (七出)’, and ‘Huali(和離)’ of the Tang Code. At the same time, however, we can confirm that the actual methods of execution and discussion of divorce have changed and expanded from Yijue(義絶), Qichu(七出), and Huali(和 離). Through these changes and expansions, we see the impact of the changes in family culture, where smaller family units became more prevalent during the Song Dynasty in comparison to that during the Tang Dynasty. Furthermore, we see the local officials respecting the changes in family culture. In the case of individual disputes between the couples, we can observe how the judicial culture of the Southern Song period dictated that they must try to respect the opinions or the relationships of the couples (or their families) as much as they ca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87권 1호 ~ 87권 1호 |
|
40권 1호 ~ 40권 1호 |
|
42권 0호 ~ 42권 0호 |
|
32권 1호 ~ 32권 1호 |
콘텐츠문화연구 |
3권 0호 ~ 3권 0호 |
|
22권 0호 ~ 22권 0호 |
|
94권 0호 ~ 94권 0호 |
|
132권 0호 ~ 132권 0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122권 0호 ~ 122권 0호 |
문학/사학/철학 |
64권 0호 ~ 64권 0호 |
|
73권 4호 ~ 73권 4호 |
인문학 연구 |
49권 0호 ~ 49권 0호 |
|
73권 3호 ~ 73권 3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73권 2호 ~ 73권 2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
73권 1호 ~ 73권 1호 |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
7권 0호 ~ 7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