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r Transition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Programs Who Had An Undergraduate Degree in Engineering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Appendix
본 연구에서는 학부에서 공학을 전공한 상담 전공 대학원생들의 진로전환 경험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그들의 상담 분야 입문 계기, 교육 및 훈련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 원활한 진로전환을 위해 필요한 도움, 교육 및 훈련 과정에서 발견한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공학계열 학부를 졸업하고 상담 전공 석사과정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을 진행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공학이 아니라 오히려 상담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다는 점을 깨닫게 되고, 직접 혹은 간접 체험을 통해 상담에 대한 긍정적인 인상을 형성하게 되면서 상담 분야에 입문하게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기에는 공학과는 다른 학문적 특성과 이질적인 분야에 대한 생소함,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정보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스스로 학습방식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지식 습득과 진로 탐색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함으로써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해 간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상담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준비해야 할 점으로 내담자로서의 상담 경험을 통한 자기이해와 전공지식을 선행 학습하는 것이라 응답하였고, 공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오히려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내담자 이해, 통계 분석, 상담정보의 체계적인 기록과 분석 등의 수행에서 강점을 발휘할 수 있다고 믿었다. 본 연구에서의 발견이 상담자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qualitatively examined career transition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who had earned a bachelor's degree in engineering. Specifically, what made them enter the counseling field, what difficulties they faced in the course of counselor training, how they coped with those difficulties, what would help them make a smoother transition, and what strengths as engineering major could contribute to their professional growth were identified. Nine graduate students, who had majored in engineering at undergraduate and were pursuing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participants stated, counseling fitted better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than engineering and a positive impression was formed on counseling through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s, so they decided to enter the counseling field. In the early days of a new career, they had various difficulties due to different academic characteristics, unfamiliarity with the area, and lack of information about subject areas and potential career options. Nevertheless, they tried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by changing their learning style and actively working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explore career paths. Participants responded that gaining self-understanding by receiving counseling as clients and acquiring the basic knowledge of counseling in advance are needed to make a successful transition to the counseling field. Also, they believed that prior experiences as an engineering major could serve as a basis to perform well in the areas of analytical and logical understanding of clients, statistical analysis, and systematic recording and analysis of counseling inform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counselor education were discuss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34권 1호 ~ 34권 1호 |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
37권 1호 ~ 37권 1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19권 2호 ~ 2020권 1호 |
교양교육과 시민 |
3권 0호 ~ 3권 0호 |
휴먼웨어 연구 |
3권 2호 ~ 3권 2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71권 0호 ~ 71권 0호 |
|
41권 1호 ~ 41권 1호 |
|
31권 5호 ~ 31권 5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4권 1호 ~ 4권 1호 |
|
13권 4호 ~ 13권 4호 |
|
77권 0호 ~ 77권 0호 |
현대교육연구(구 중등교육연구) |
32권 2호 ~ 32권 2호 |
교육연구 |
5권 2호 ~ 5권 2호 |
|
64권 1호 ~ 64권 1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소식 |
75권 0호 ~ 75권 0호 |
|
26권 6호 ~ 26권 6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