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ocial interest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사회적 관심이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관심을 측정하는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관심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의미발견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심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여, 사회적 관심이 높을수록 의미추구가 의미발견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 발견의 매개효과는 사회적 관심의 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최종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삶의 의미추구 시, 의미발견을 돕고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심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resence of meaning (PM) in life on the association between search for meaning (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W), and analyze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ocial interest (SI) by testing if SI moderates such a mediating effect of PM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365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ies located with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from the self-report measures of SM, PM, PW and SI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SM, PM, PW, and SI. Second, P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 and PW.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I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 and PM was significant as SM had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PM when the level of SI was higher.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 and PW was found to be moderated by SI, which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I. Our findings implicate the potential facilitative role that SI plays in finding the meaning in life and experie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college students strive to search for meaning in life.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20권 1호 ~ 20권 1호 |
|
11권 1호 ~ 11권 1호 |
|
34권 1호 ~ 34권 1호 |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
37권 1호 ~ 37권 1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19권 2호 ~ 2020권 1호 |
교양교육과 시민 |
3권 0호 ~ 3권 0호 |
휴먼웨어 연구 |
3권 2호 ~ 3권 2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71권 0호 ~ 71권 0호 |
|
41권 1호 ~ 41권 1호 |
|
31권 5호 ~ 31권 5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4권 1호 ~ 4권 1호 |
|
13권 4호 ~ 13권 4호 |
|
77권 0호 ~ 77권 0호 |
현대교육연구(구 중등교육연구) |
32권 2호 ~ 32권 2호 |
교육연구 |
5권 2호 ~ 5권 2호 |
|
64권 1호 ~ 64권 1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