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ting Effects of Worry and Parenting Stress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among Mothers with Infant/Toddle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nxiety Sensitivity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부모역할 걱정과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모역할 걱정 간의 관계를 불안민감성이 조절하는 조절모형,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 간의 관계를 부모역할 걱정, 양육스트레스가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불안민감성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총 200명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을 분석한 결과, 첫째, 매개모형 검증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부모역할 걱정과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효과 검증 결과 불안민감성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모역할 걱정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불안민감성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모역할 걱정 간의 관계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상담실제 및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depression in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This study examined setting up a mediation model in whic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ffecting on depression through worry about parenting role and parenting stress, a moderation model in which anxiety sensitivit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ies about parenting role, an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was mediated by worry about parenting role and parenting stress and moderated by the level of anxiety sensitivity. As the results of model analyzing of the data collected from 200 mothers with infant/toddler, first, the results from the mediation model indicate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significant indirect relations with depression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worry about parenting role and parenting stres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moderation model indicated that anxiety sensitivity showed the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about parenting role. Lastly, the results from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indicated that mothers’ anxiety sensitivity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depression via worry about parenting role and parenting stres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rapist practices were discuss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20권 1호 ~ 20권 1호 |
|
11권 1호 ~ 11권 1호 |
|
34권 1호 ~ 34권 1호 |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
37권 1호 ~ 37권 1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19권 2호 ~ 2020권 1호 |
교양교육과 시민 |
3권 0호 ~ 3권 0호 |
휴먼웨어 연구 |
3권 2호 ~ 3권 2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71권 0호 ~ 71권 0호 |
|
41권 1호 ~ 41권 1호 |
|
31권 5호 ~ 31권 5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4권 1호 ~ 4권 1호 |
|
13권 4호 ~ 13권 4호 |
|
77권 0호 ~ 77권 0호 |
현대교육연구(구 중등교육연구) |
32권 2호 ~ 32권 2호 |
교육연구 |
5권 2호 ~ 5권 2호 |
|
64권 1호 ~ 64권 1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