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Dae-jung’s Peace Thoughts and Peaceful Practices
Ⅰ. 머리말 : 평화주의자 김대중의 재발견 Ⅱ. 김대중의 평화주의 사상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Ⅲ. 김대중의 평화사상과 실천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20년 전 김대중 전 대통령은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던 공적은 한반도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켰고, 전쟁 없는 한반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인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김대중의 과격성이나 위험성에 대해 문제제기를 해왔다. 과연 김대중은 평화주의적 면모가 있는가, 또한 평화적 실천을 했는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우선 김대중의 평화주의 사상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김대중의 정치적 트레이드마크이다시피 했던 평화통일론의 방점이 통일론에서 평화론으로 옮겨가게 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김대중의 정치인생과 함께 했던 호남에 대한 지역차별주의 문제를 살펴보면서 차별이라는 폭력을 평화로 극복하는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 이제 마지막으로 사회구조적 폭력으로서의 계급적 차별과 성차별 문제에 대한 관심과 지향과 함께 평화운동을 위한 주체로서의 시민사회 형성에서 김대중의 역할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was awarded the Nobel Peace Prize 20 years ago. It is a well-known fact that he was awarded for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inter-Korean summit since their division and his long effort to create a war-free Korean Peninsula. However, whether Kim was a dangerous radical has been debated by some people. Thus,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whether Kim was a pacifist and practiced peace in reality. The article begins with a brief introduction. The second section looks into the background of how Kim Dae-jung constructed the pacifist thoughts. The third section examines the peaceful unification theory, which was Kim’s political trademark, particularly on the process in which the focus shifted from the unification to the peace theory. This section also introduces the problem of regional discrimination against Honam, which had haunted Kim through his political career, and explores how he overcame the violence of discrimination through peace. This will be followed by the analysis of his orientations and policies on the social structural violences, focusing on the issues of class and gender discriminations. The section ends with a brief examination of Kim’s role as the leading actor of the peace movement in the formation of civil society and is followed by the conclusion, which summarises the central argument.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6권 1호 ~ 6권 1호 |
|
37권 1호 ~ 37권 1호 |
군사논단 |
105권 0호 ~ 105권 0호 |
|
29권 1호 ~ 29권 1호 |
|
27권 2호 ~ 27권 2호 |
|
30권 1호 ~ 30권 1호 |
|
44권 4호 ~ 44권 4호 |
|
11권 1호 ~ 11권 1호 |
|
41권 3호 ~ 41권 3호 |
|
5권 1호 ~ 5권 1호 |
|
33권 1호 ~ 33권 1호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
25권 2호 ~ 25권 2호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정책리포트 |
57권 0호 ~ 57권 0호 |
정치와 평론 |
27권 0호 ~ 27권 0호 |
새로운 상상력! 통일교육,가상현실(VR)과 만나다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통일 30년, 독일 시민사회 경험을 넘어 한국NPO 역량쌓기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분단 극복의 여정 북아일랜드 통합교육을 찾아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
130권 0호 ~ 130권 0호 |
통일한국포럼 |
31권 0호 ~ 33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