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Short Resistance and Shorting of Membrane of PEMFC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감 사 References
PEMFC(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고분자 막의 shorting 저항(Shorting Resistance, SR)은 고분자 막의 내구성에 관한 중요한 지표다. SR이 감소하면 shorting 전류(Shorting Current, SC)가 증가하여 내구성과 성능이 감소하고, SR이 약 0.1 kΩ·cm2 이하가 되면 shorting이 발생하여 온도가 급상승하고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를 연소시켜 스택 구동이 종료된다. Short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SR을 제어해야 하므로 SR에 영향을 주는 조건들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SR 측정 방법들에서도 차이가 있어서 DOE(Department of Energy)와 NEDO(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방법을 개선한 SR 측정법을 제시하였다. 상대습도와 온도, 셀 체결 압이 상승하면 SR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고분자 막의 가속내구 평가과정에서 마지막 단계에서 SR이 0.1 kΩ·cm2 이하로 급감해 수소투과전류밀도가 15 mA/cm2 이상이 되었고, 이 MEA를 해체 후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한 결과 고분자 막 내부에 백금이 많이 분포함을 보였다.
The shorting resistance (SR) of the PEMFC(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olymer membrane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durability of the membrane. When SR decreases, shorting current (SC) increases, reducing durability and performance. When SR becomes less than about 0.1 kΩ?cm2, shorting occurs, the temperature rises rapidly, and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 is burned to end stack 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shorting, we need to control the SR, so the conditions affecting the SR were studie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R measurement methods, and the SR measurement method, which improved the DOE(Department of Energy) and NEDO(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method, was presen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R decreases as the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and cell compression pressure increase. In the final stage of the accelerated durability evaluation process of the polymer membrane, SR rapidly decreased to less than 0.1 kΩ·cm2, and the hydrogen permeability became higher than 15 mA/cm2. After dismantling the MEA,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showed that a lot of platinum was distributed inside the membrane.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17권 1호 ~ 17권 1호 |
|
56권 1호 ~ 56권 1호 |
|
39권 1호 ~ 39권 1호 |
|
25권 1호 ~ 25권 1호 |
|
32권 1호 ~ 32권 1호 |
공업화학전망 |
24권 1호 ~ 24권 1호 |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NICE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
39권 1호 ~ 39권 1호 |
|
32권 1호 ~ 32권 1호 |
|
59권 1호 ~ 59권 1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16권 4호 ~ 16권 4호 |
|
31권 6호 ~ 31권 6호 |
|
55권 4호 ~ 55권 4호 |
NICE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
38권 6호 ~ 38권 6호 |
고무기술 |
21권 4호 ~ 21권 4호 |
|
38권 4호 ~ 38권 4호 |
공업화학전망 |
23권 6호 ~ 23권 6호 |
|
31권 6호 ~ 31권 6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